본문 바로가기
소방

자동화재탐지설비, 배선의 설치기준과 시공의 일반사항 그리고 내화배선 및 내열배선

by Universe and Astronaut 2025. 1. 16.
반응형

1. 배선의 설치기준


1) 전원회로의 배선

전원회로의 배선은 내화배선에 따르고, 그 밖의 배선(감지기 상호간 또는 감지기로부터 수신기에 이르는 감지기 회로의 배선 제외)은 내화배선 또는 내열배선에 따라 설치할 것.


2) 감지기 상호간 또는 감지기로부터 수신기에 이르는 감지기회로의 배선 설치기준


아날로그식, 다신호식 감지기R형 수신기용으로 사용되는 것은 전자파 방해를 받지 아니하는 쉴드선 등을 사용해야 하며, 광케이블의 경우에는 전자파 방해를 받지 아니하고 내열성능이 있는 경우 사용가능하다.
(단, 전자파 방해를 받지 아니하는 방식의 경우는 제외)


일반배선을 사용할 때는 내화배선 또는 내열배선으로 사용할 것.


3) 감지기회로의 도통 시험을 위한 종단저항의 기준


점검 및 관리가 쉬운 장소에 설치 할 것.
전용함을 설치하는 경우 그 설치높이바닥으로부터 1.5m 이내로 할 것.
감지기회로의 끝부분에 설치하며, 종단감지기에 설치할 경우에는 구별이 쉽도록 해당 감지기의 기판 및 감지기 외부 등에 별도의 표시를 할 것.

 

▶ 감지기회로의 상시개로식의 배선은 용이하게 회로도통시험을 할 수 있도록 그 말단에 발신기, 스위치(푸시버튼SW) 또는 종단저항 등을 설치할 것.

 

▶ 감지기 상호간의 배선 : 450/750V 저독성 난연 가교 폴리올레핀 절연전선(HFIX)

 

▶ 종단저항
① 설치목적 : 도통시험
② 설치장소 : 수신기함 또는 발신기함 내부


2. 배선시공의 일반사항


감지기 사이의 회로의 배선은 송배선식으로 할 것
② 전원회로의 전로와 대지 사이 및 배선 상호간의 절연저항은 1경계구역마다 직류 250V의 절연저항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한 절연저항이 0.1㏁ 이상이 되도록 할 것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배선은 다른 전선과 별도의 관, 덕트, 몰드 또는 풀박스 등에 설치할 것 (단,  60V 미만약 전류회로에 사용하는 전선으로서 각각의 전압이 같을 때에는 제외)
④ P형 수신기 및 GP형 수신기의 감지기회로의 배선에 있어서 하나의 공통선에 접속할 수 있는 경계구역은 7개 이하로 할 것
⑤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회로의 전로저항은 50Ω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하며, 수신기의 각 회로별 종단에 설치되는 감지기에 접속되는 배선의 전압감지기 정격전압의 80% 이상이어야 할 것

 

 

3. 배화배선, 내열배선


1) 내화배선

 

▶ 내화전선의 내화성능

 

KS C IEC 60331-1과  2(온도 830℃/가열시간 120분) 표준 이상을 충족하고, 난연성능 확보를 위해 KS C IEC 60332-3-24 성능 이상을 충족할 것
→ TFR-8  : 옥내소화전, 스프링쿨러, 배연설비 등 소방설비의 비상전원 및 조작회로에 사용
        특징 - 화재 발생시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하도록 높은 내열성능 보유(830℃/120분)


▷ 자동화재탐지설비의 배선공사 
가요전선관공사 / 합성수지관공사 / 금속관공사 / 금속덕트공사 / 케이블공사

 

 

2)내열배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