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화론 - 방화안전관리(화점의 관리, 연소방지의 설비, 초기소화설비, 본격소화설비, 소방안전관리자의 업무, 소방훈련, 인명구조활동, 방재센터, 안전관리, 피난기구, 소방용배관)
1. 화점의 관리ⓐ 화기 사용장소의 한정 ⓑ 화기 사용책임자의 선정 ⓒ 화기 사용시간의 제한 ⓓ 가연물, 위험물의 보관 ⓔ 모닥불, 흡연 등의 정리 ▷ 화점 : 화재의 원인이 되는 불이 최초로 존재하고 발생한 곳2. 연소방지(방배연)의 설비ⓐ 방화문, 방화셔터 ⓑ 방화댐퍼 ⓒ 방연수직벽 ⓓ 제연설비 ⓔ 기타 급기구 등 ▷ 방화문, 방화셔터 : 화재시 열, 연기를 차단하여 화재의 연소확대를 방지하기 위한 설비 ▷ 방화댐퍼 : 화재시 연소를 방지하기 위한 설비 ▷ 방연수직벽 : 화재시 연기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설비 ▷ 제연설비 : 화재시 실내의 연기를 배출하고 신선한 공기를 불어 넣어 피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설비3. 초기소화설비와 본격소화설비 4.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과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
2025. 7. 7.
방화론 - 건축물의 내화성상[건축방재의 기본적인 사항, 건축물의 방재기능, 건축물의 내화구조와 방화구조, 건축물의 방화문과 방화벽, 건축물의 방화구획, 파난계단의 설치기준, 건축물의 화재하중, 개구부와 내화율)
1. 건축방재의 기본적인 사항1) 공간적 대응 ▷ 내화성능 : 어떤 구성요소 또는 부재가 지속적으로 화재에 견딜수 있는 시간 ▷ 방연성능 : 화재시 연기가 확산하여 피난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 ▷ 내장제한 : 화재시 피해를 줄이고 피난 및 소화를 돕기위해 건물 내부의 재료를 규제하는 것 ▷ 불연화(연소되지 않음) : 불연성 도는 난연성 재료를 사용하여 불타지 않거나 불타기 힘들게 하는 것 ▷ 난연화 : 쉽게타지 않음, 불꽃에 접촉시 타지만, 불꽃을 제거하면 스스로 불꽃을 내면서 연소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하는 성질 ▷ 출화 : 발화, 화재발생 ▷ 건축물의 방재기능 설정 요소 : 부지선정, 배치계획 / 평면계획 / 단면계획 / 입면계획 / 재료계획 2) 설비적 대응 제연설비, 방화문, 방화셔터, 자..
2025. 7. 5.
화재론 - 물질의 화재위험(화재의 발생체계, 위험물 일반사항, 특수가연물, 위험물질의 화재성상, LPG, LNG, 최소발화에너지)
1. 화재의 발생체계1) 화재위험 ⓐ 발화위험 ⓑ 확대위험 ⓒ 피해의 증가 2) 화재를 발생시키는 열원 2. 위험물의 일반사항 (위험물 : 인화성 또는 발화성 물품)1) 제1류 위험물 ▷ 조연성 : 연소를 돕는 성질 ▷ 조해성 : 녹는 성질(질산염류) ▷ 무기과산화물 : 물과 반응시 산소 발생 ▷ 질산염류 : 흡습성이 있으므로 습기에 주의할 것 ▷ 황화린 : 온도 및 습도가 높은 장소에서 자연발화 위험이 크다 2) 제2류 위험물 ▷ 질식소화 : 공기중의 산소농도를 16% 이하로 희박하게 하여 소화하는 방법 ▶ 저장물질 * 황린, 이황화탄소 → 물속 * 니트로셀룰로오스 → 알코올 속 * 칼륨, 나트륨, 리튬 → 석유류(등유) 속 * 아세틸렌 → 디메틸프로마미드(DMF), 아세톤 ▶ 저장제외 물질 산화프로필..
2025. 7.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