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목재 건축물
1) 열전도율
목재의 열전도율은 콘크리트보다 적다
(철근콘크리트에서 철근의 허용응력을 위태롭게 하는 최저온도는 600℃ / 콘크리트의 탄성 500℃)
(석면, 암면 - 열전도율이 가장 적다)
2) 열팽창률
목재의 열팽창률으 squrehf, 철재, 콘크리트보다 적으며, 벽돌, 철재, 콘크리트 등은 열팽창률이 비슷함
3) 수분함유량
목재의 수분함유량이 15% 이상이면 고온에 장시간 접촉해도 착화하기 어렵다
4) 목재의 연소에 영향을 주는 인자
비중 / 비열 / 열전도율 / 수분함량 / 온도 / 공급상태 / 목재의 비표면적
5) 목재의 상태와 연소속도
▷ 목재 건축물(=목조 건축물)
* 화재성상 : 고온 단기형
* 최고온도 : 1300℃
▷ 내화 건축물
* 화재성상 : 저온 장기형
* 최고온도 : 900~1000℃
6) 목재의 연소과정
7) 목재 건축물의 화재 진행과정
▷ 무염착화 : 가연물이 재로 덮힌 숯불 모양으로 불꽃없이 착화하는 현상
▷ 최성기의 상태
* 온도는 국부적으로 1200~1300℃ 정도
* 상층으로 완전히 연소되고 농연은 건물전체에 충만됨
* 유리가 타서 녹아 떨어지는 상태가 목격됨
▷ 목조 건물 화재의 일반 현상
* 처음에는 백색 연기가 발생하며, 시간이 점점 지날수록 흑색 연기가 창, 확기구 등으로 분출된다
* 차차 연기량이 많아지고 지붕, 처마 등에서 연기가 새어 나온다
* 옥내에서 탈 때, 타는 소리가 요란하다
* 결국은 화염이 외부에 나타난다
8) 출화(=화재)의 구분
<용어>
* 도괴방향법
출화가옥의 기둥 등은 발화부를 향하여 파괴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곳을 출화부로 추정하는 원칙
* 탄화심도 비교법
탄소화합물이 분해되어 탄소가 되는 깊이, 즉 나무를 예로 들면 나무가 불에 탄 깊이를 측정하여 출화부를 추정하는 원칙
발화부에 가까울수록 깊어지는 경향이 있다
▷ 건축물의 화재성상
: 실의 규모 / 내장재료 / 공기유입부분의 형태
▷ 일반가연물의 연소 생성물
: 수증기 / 이산화탄소 / 일산화탄소
9) 목재 건출물의 표준온도곡선
10) 목재 건축물의 화재원인
11) 훈소
2. 내화 건축물
1) 내화 건축물의 내화 진행과정
▷ 성장기
공기의 유통구가 생기면 연소속도는 급격히 진행되어 실내는 순간적으로 화염이 가득하게 되는 시기
2) 내화 건축물의 표준온도곡선
▷ 내화건축물의 화재시 표준 온도
* 30분 후 : 840℃
* 1시간 후 : 925~950℃
* 2시간 후 : 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