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화재의 발생체계
1) 화재위험
ⓐ 발화위험
ⓑ 확대위험
ⓒ 피해의 증가
2) 화재를 발생시키는 열원
2. 위험물의 일반사항 (위험물 : 인화성 또는 발화성 물품)
1) 제1류 위험물
▷ 조연성 : 연소를 돕는 성질
▷ 조해성 : 녹는 성질(질산염류)
▷ 무기과산화물 : 물과 반응시 산소 발생
▷ 질산염류 : 흡습성이 있으므로 습기에 주의할 것
▷ 황화린 : 온도 및 습도가 높은 장소에서 자연발화 위험이 크다
2) 제2류 위험물
▷ 질식소화 : 공기중의 산소농도를 16% 이하로 희박하게 하여 소화하는 방법
▶ 저장물질
* 황린, 이황화탄소 → 물속
* 니트로셀룰로오스 → 알코올 속
* 칼륨, 나트륨, 리튬 → 석유류(등유) 속
* 아세틸렌 → 디메틸프로마미드(DMF), 아세톤
▶ 저장제외 물질
산화프로필렌, 아세트 알데히드, 아세틸렌 → 구리, 마그네슘, 은, 수은 용기에 사용금지
3) 제3류 위험물
▶ 물과 반응하여 발화하는 물질
4) 제4류 위험물
▷ 실리콘유 → 난연성 물질
5) 제5류 위험물
▷ 제5류 위험물
자체에서 산소를 함유하고 있어 공기중의 산소를 필요로 하지 않고 자기 연소하는 물질
▷ 니트로셀룰로오스 : 질화도가 클수록 위험성 큼 / 알코올, 물 등으로 적신 상태로 보관 / 화약의 원료 / 충분히 정제되지 않고 산 성분이 남아 있는 것이 더 위험
▷ TNT 폭발시 발생하는 기체 : 이산화탄소, 질소, 수증기
6) 제6류 위험물
▷ 산소공급원 : 제1류 위험물 / 제5류 위험물 / 제6류 위험물
▷ 유기물 : 탄소를 주성분으로 한 물질
▷ 주수소화시 위험한 물질
* 무기과산화물 : 산소 발생
* 금속분, 마그네슘 : 수소 발생
* 가연성 액체의 유류화재 : 연소면(화재면) 확대
▷ 동소체
* 연소생성물을 보면 알 수 있다
* 화학 원소가 두 가지 이상의 형태로 존재하는 현상
▷ 아세틸렌 : 할로겐 원소와 화하하여 유기용매가 된다
3. 특수가연물(화재가 발생하면 그 확대가 빠른 물품)
→ 면화류 : 불연성 또는 난연성이 아닌 면상 또는 팽이모양의 섬유와 마사 원료를 말함
→ 넝마 및 종이부스러기 : 불연성 또는 난연성이 아닌 것(동식물유류가 깊이 스며들어 있는 옷감, 종이 및 이들의 제품 포함)에 한함
→ 사류 : 불연성 또는 난연성이 아닌 실(실부스러기와 솜털 포함)과 누에고치를 말함
→ 볏짚류 : 마른 볏짚, 마른 북더기와 이들의 제품 및 건초를 말함
4. 위험물질의 화재성상
1) 합성섬유의 화재성상
▷ 망울 : 작고 둥글게 엉기어 뭉쳐진 덩어리
▷ 연화 : 단단한 것이 부드럽고 연하게 되는 것
2) 합성수지의 화재성상
㉠ 열가소성 수지 : 열에 의하여 변형되는 수지 / 폴리에틸렌수지, 폴리스틸렌수지 등
㉡ 열경화성 수지 : 열에 의하여 변형되지 않는 수지 / 페놀수지, 요소수지, 멜라민수지
3) 고분자재료의 난연화방법
㉠ 재료의 표면에 열전달을 제어하는 방법
㉡ 재료의 열분해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
㉢ 재료의 열분해 생성물을 제어하는 방법
㉣ 재료의 기상반응을 제어하는 방법
4) 방염섬유의 화재성상
㉠ 방염섬유는 LOI(Limited Oxygen Index)에 의해 결정
㉡ LOI(산소지수) : 가연물을 수직으로 하여 가장 윗부분에 착화하여 연소를 계속 유지시킬 수 있는 최소산소농도 (LOI가 높을 수록 연소의 우려가 적음)
㉢ 고분자 물질의 LOI
▷ 방염 : 연소하기 쉬운 건축물의 실내장식물 등 또는 그 재료에 어떤 방법을 가하여 연소하기 어렵게 만든것
▷ 방염성능 : 화재의 발생초기단계에서 화재확대의 매개체를 단절시키는 성질
▷ 방염제 : 세탁하여도 쉽게 씻겨지지 않을 것
▷ 방염성능 측정기준 : 잔진시간(잔신시간) / 잔염시간 / 탄화면적 / 탄화길이 / 불꽃접촉 횟수 / 최대연기밀도
▷ 잔진시간(잔신시간) & 잔염시간
→ 잔진시간(잔신시간) : 버너의 불꽃을 제거한 때부터 불꽃을 올리지 않고 연소하는 상태가 그칠 때 까지의 경과시간
→ 잔염시간 : 버너의 불꽃을 제거한 때부터 불꽃을 올리며 연소하는 상태가 그칠 때까지의 경과시간
5) 액화석유가스(LPG)의 화재성상
㉠ 주성분은 프로판과 부탄
㉡ 무색, 무취
㉢ 독성이 없는 가스
㉣ 액화하면 물보다 가볍고, 기화하면 공기보다 무겁다
㉤ 휘발유 등 유기용매에 잘 녹는다
㉥ 천연고무를 잘 녹인다
㉦ 공기중에서 쉽게 연소, 폭발
▷ 메탄 : 도시가스의 주성분 (도시가스는 공기보다 가벼움)
▷ LPG, 이산화탄소, 할론 저장용기는 40℃ 이하로 유지
▷ BTX : 벤젠, 톨루엔, 키시렌
6) 액화천연가스(LNG)의 화재성상
㉠ 주성분은 메탄
㉡ 무색, 무취
㉢ 액화하면 물보다 가볍고, 기화하면 공기보다 무겁다
<가스의 주성분>
7) 최소발화에너지(MIE : Minimum Ignition Energy)
▷ 최소발화에너지 = 최소 착화 에너지 = 최소 정전기 점화에너지
▷ 최소발화에너지
* 가연성가스 및 공기와의 혼합가스에 착화원으로 점화시에 발화하기 위하여 필요한 착화원이 갖는 최소에너지
* 국부적으로 온도를 높이는 전기불꽃과 같은 점화원에 의해 점화될 때의 에너지 최소값
▷ 소염거리 : 인화가 되지 않는 최대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