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소방32

가스누설경보기의 제품검사기술기준(음향장치,절연저항시험,예비전원,방전종지전압,표시등) 1. 가스누설경보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기술기준 1) 경보기의 분류① 단독형 : 가정용 ② 분리형 : 영업용 - 1회로용                  : 공업용 - 1회로 이상용 2) 분리형 수신부의 기능  수신개시로부터 가스누설표시까지의 소요시간은 60초 이내일 것 3) 음향장치① 주음향장치 → 단독형(가정용) : 70dB 이상                         → 분리형(영업용 - 1회로용) : 70dB 이상                         → 분리형(공업용 - 1회로 이상용) : 90dB 이상 ② 고장표시장치용 : 60dB 이상 ③ 충전부와 비충전부 사이의 절연저항 : 직류 500V 절연저항계, 20㏁ 이상 4) 절연저항시험① 절연된 충전부와 외함간 : 직류 500V 절연저항.. 2025. 1. 27.
누전경보기의 구성, 시험, 수신부, 미작동원인, 회로, 설치방법, 기술기준에 대해서 1. 누전경보기내화구조가 아닌 건축물로서 벽, 바닥 또는 천장의 전부나 일부를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 재료가 아닌 재료에 철망을 넣어 만든 건물의 전기설비로부터 누설전류를 탐지하여 경보를 발하는 것 1) 구성요소① 영상변류기 : 누설전류를 검출한다 ② 수신기(차단기구 포함) : 누설전류를 증폭한다 ③ 음향장치 : 경보를 발한다▶ 누전경보기의 증폭기 : 수신기에 내장 ▶ 누전경보기의 개괄적인 구성 : 변류기, 수신부 ◆ 변류기와 영상변류기 2) 수신기 증폭부의 방식① 매칭트랜스나 트랜지스터를 조합하여 계전기를 동작시키는 방식 ② 트랜지스터나 I.C로 증폭하여 계전기를 동작시키는 방식 ③ 트랜지스터 또는 I.C와 미터릴레이를 증폭하여 계전기를 동작시키는 방식 ▶ 수신부 : 변류기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 2025. 1. 26.
비상방송설비의 계통도, 설치기준, 절연저항 1. 비상방송설비의 계통도 2. 비상방송설비의 설치기준① 발화층 및 직상 4개층 우선경보방식 적용대상물 ▶ 11층 (공동주택 16층) 이상의 특정소방대상물의 경보② 확성기의 음성입력은 실내 1W, 실외 3W 이상일 것 ③ 확성기는 각 층마다 설치하되, 각 부분으로부터의 수평거리는 25m 이하일 것 ④ 음량조절기는 3선식 배선일 것 ⑤ 조작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 0.8 ~ 1.5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할 것 ⑥ 다른 전기회로에 의하여 유도장애가 생기지 않을 것 ⑦ 비상방송 개시시간은 10초 이하일 것⑧ 다른 방송설비와 공용할 경우 화재시 비상경보 외의 방송을 차단할 수 있을 것 ⑨ 증폭기 및 조작부는 수위실 등 상시 사람이 근무하는 장소로서 점검이 편리하고 방화상 유효한 곳에 설치할 것 3. 비상방송설비의 절.. 2025. 1. 25.
비상경보설비(비상벨,자동식 사이렌) 및 단독경보형 감지기의 설치기준에 대해서 1. 비상벨 또는 자동식 사이렌 설비의 설치기준 1) 음향장치① 지구음향장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하되,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음향장치까지의 수평거리가 25m 이하가 되도록 하고, 해당 층의 각 부분에 유효하게 경보를 발할 수 있도록 설치 ② 정격전압의 80% 전압에서 음향을 발할 수 있도록 할 것 (단, 건전지를 주전원으로 사용하는 음향장치는 제외) ③ 음량은 부착된 음향장치의 중심으로부터 1m 떨어진 위치에서 90dB 이상이 되는 것으로 할 것※ 비상벨설비 : 화재발생 상황을 경종으로 경보하는 설비, 부식성 가스 또는 습기 등으로 인하여 부식의 우려가 없는 장소에 설치※ 자동식 사이렌 설비 : 화재발생 상황을 사이렌으로 경보하는 설비 ※ 비상벨설비,자동식 사이렌 설비 :.. 2025. 1. 25.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설치기준, 성능시험 기술기준, 설치대상 1. 자동화재 속보설비의 설치기준① 자동화재탐지설비와 연동으로 작동하여 자동적으로 화재발생 상황을 소방관서에 전달되는 것으로 할 것 ② 조작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 0.8m ~ 1.5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하고, 그 보기 쉬운 곳에 스위치임을 표시한 표지를 할 것 ③ 속보기에는 소방관서에 통신망으로 통보하도록 하며, 데이터 또는 코드전송방식을 부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④ 문화재에 설치하는 자동화재속보설비는 속보기에 감지기를 직접 연결하는 방식으로 할 수 있다. ※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구성요소  감지기, 수신기, 발신기, 중계기, 음향장치, 표시등, 전원, 배선 ※ 설치높이 기타기기 : 0.8 ~ 1.5m 이하 시각경보장치 : 2 ~ 2.5m 이하(단, 천장의 높이가 2m 이하인 경우에는 천장으로부터 0.15m.. 2025. 1. 19.
자동화재탐지설비, 고장원인과 유지관리 사항 1.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고장원인1) 비화재보가 발생할 수 있는 원인① 표시회로의 절연불량 ② 감지기의 기능불량 ③ 수신기의 기능불량 ④ 감지기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의 온도변화가 급격한 것에 의한 것 ▶ 비화재보가 빈번할 때의 조치사항 ① 감지기 설치장소에 이상온도 반입체가 있는가 조사 ② 수신기 내부의 계전기 기능 조사 ③ 감지기회로 배선의 절연상태 확인 ④ 표시회로의 절연상태 확인 2) 동작하지 않는 경우 원인① 전원의 고장 ② 전기회로의 접촉불량 ③ 전기회로의 단선 ④ 릴레이,감지기 등의 접점불량 ⑤ 감지기의 기능불량 ▶ 엔진출력P : 발전기 용량 [kW], η : 발전기 효율2.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유지관리 사항① 수신기가 있는 장소에는 경계구역일람도를 비치하였는가 ② 수신기 부근에 조작상 지장을 주.. 2025. 1.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