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간선설비
1) 전선의 굵기를 결정하는 3요소
허용전류, 전압강하, 기계적 강도 ( 옥내 배선의 지름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허용전류')
▷ 허용전류 : 전선의 성능을 손상시키지 않고 연속하여 흘릴 수 있는 전류의 한도
▷ 전압강하 :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의 차
2) 전선 단면적 계산
A : 전선의 단면적[㎟], L : 선로길이[m], I : 전부하전류[A], e : 각 선간의 전압강하[V],
e' : 각 선간의 1선과 중성선 사이의 전압강하[V]
★ 전압강하율
3) 전선의 종류
① 절연전선
HFIX : 450/750V 저독성 난연 가교 폴리올레핀 절연전선
RB 전선 : 600V 고무절연전선
DV 전선 : 인입용 비닐절연전선
OW 전선 : 옥외용 비닐절연전선
② 전력용 케이블
CV 케이블 : 가교폴리에틸렌 절연비닐 외장케이블
EV 케이블 : 폴리에틸렌 절연비닐 외장케이블
BN 케이블 : 부틸 고무 절연클로로프렌 외장케이블
RN 케이블 : 고무 절연클로로프렌 외장케이블
VV 케이블 : 비닐 절연비닐 외장케이블
③ 특수 케이블
HFIX : 450/750V 저독성 난연 가교 폴리올레핀 절연전선 ( HFIX 전선의 최고허용온도 90℃)
GV 전선 : 접지용 비닐전선
4) 접지시스템(KEC 140)
① 접지시스템 구분
② 접지도체에 피뢰시스템이 접속되는 경우 접지도체의 단면적(KEC 142.3.1)
→ 구리 16㎟ 이상 / 철제 50㎟ 이상
③ 큰 고장전류가 접지도체를 통하여 흐르지 않을 경우 접지도체의 최소 단면적(KEC 142.3.1)
→ 구리 6㎟ 이상 / 철제 50㎟ 이상
▷ 접지공사 - 접지극 매설
→ 접지극 매설 깊이 : 0.75m 이상
→ 접지선 인출구에서 접지극까지 간격 : 1m 이상 (철주, 기타 금속제의 경우)
5) 전선관의 산정
케이블 또는 절연도체의 내부 단면적이 휨(가요) 전선관 단면적의 ⅓ 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6) 전동기 용량의 산정
P : 전동기 용량[Kw], η : 효율, K : 여유계수(전달계수), H : 전양정[m], Q : 양수량[㎡]
7) 동기속도
f : 주파수[Hz], P : 극수
2. 예비전원 설비
1) 자가발전기 용량의 산정
2) 발전기용 차단기의 용량
3) 축전지 설비
▷ 부동충전방식 장점
→ 축전지의 수명이 연장된다
→ 축전지 용량이 작아도 된다
→ 부하변동에 대한 방전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 보수가 용이하다
4) 2차 충전전류 및 출력
5) 용량 산정
① 시간에 따라 방저전류가 일정한 경우
② 시간에 따라 방전 전류가 변하는 경우
6) 축전지 1개의 허용 최저전압
7) 연축전지와 알칼리축전지의 비교
▷ 기전력 : 전류를 연속해서 흘리기 위해 전압을 연속적으로 만들어 주는 힘
3. 소방시설용 비상전원수전설비
4. 큐비클형의 설치기준
① 전용큐비클 또는 공용큐비클식으로 설치
② 외함은 두께 2.3mm 이상의 강판과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와 내화성능이 있는 것으로 제작
③ 개구부에는 60분+방화문, 60분 방화문 또는 30분 방화문 설치
④ 외함은 건축물의 바닥 등에 견고하게 고정할 것
⑤ 호나기장치는 다음에 적합하게 설치할 것
→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지 않도록 환기장치를 할 것
→ 자연환기구의 개구부 면적의 합계는 외함의 한 면에 대하여 해당 면적의 ⅓ 이하로 할 것, 이경우 하나의 통기구의 크기는 직경 10mm 이상의 둥근막대가 들어가서는 아니 된다.
→ 자연환기구에 따라 충분히 환기할 수 없는 경우에는 환기설비를 설치할 것
→ 환기구에는 금속망, 방화댐퍼 등으로 방화조치를 하고, 옥외에 설치하는 것은 빗물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할 것
⑥ 공용큐비클식의 소방회로와 일반회로에 사용되는 배선 및 배선용 기기는 불연재료로 구획할 것
5. 제1종 배전반 및 제1종 분전반의 시설기준
①외함은 두께 1.6mm (전면판 및 문은 2.3mm) 이상의 강판과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와 내화성능이 있는 것
② 외함의 내부는 외부의 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내열성, 단열성이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단열할 것, 이 경우단열부분은 열 또는 진동에 따라 쉽게 변형되지 않을 것
③ 다음에 해당하는 것은 외함에 노출하여 설치
→ 표시등 (불연성 또는 난연성 재료로 덮개를 설치한 것에 한함)
→ 전선의 인입구 및 입출구
④ 외함은 금속관 또는 금속제 가요전선관을 쉽게 접속 할 수 있도록 하고, 당해 접속부분에는 단열조치를 할 것
⑤ 공용 배전반 및 공용 분전반의 경우 소방회로와 일반 회로에 사용하는 배선 및 배선용 기기는 불연재료로 구획되어야 할 것
6. 제2종 배전반 및 제2종 분전반의 시설기준
① 외함은 두께 1mm (함 전면의 면적이 1000㎠를 초과하고 2000㎠ 이하인 경우에는 1.2mm, 2000㎠ 초과하는 경우에는 1.6mm) 이상의 강판과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와 내화성능이 있는 것으로 제작
② 120℃의 온도를 가했을 때 이상이 없는 전압계 및 전류계는 외함에 노출하여 설치
③ 단열을 위해 배선용 불연전용실 내에 설치
7. 특별고압 또는 고압으로 수전하는 경우
① 전용의 방화구획 내에 설치할 것
② 소방회로배선은 일반회로배선과 불연성 벽으로 구획할 것(단, 소방회로배선과 일반회로배선을 15cm 이상 떨어져 설치한 경우는 제외)
③ 일반회로에서 과부하, 지락사고 또는 단락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도 이에 영향을 받지 아니하고 계속하여 소방회로에 전원을 공급시켜 줄 수 있어야 할 것
④ 소방회로용 개폐기 및 과전류차단기에는 '소방시설용'이라 표시할 것
8. 소방시설용 비상전원수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
① 인입선 : 수용장소의 조영물(토지에 정착한 시설물 중 지붕 및 기둥 또는 벽이 있는 시설물을 말함)의 옆면 등에 시설하는 전선으로서 그 수용장소의 인입구에 이르는 부분의 전선
② 인입구 배선 : 인입선 연결점으로부터 특정소방대상물 내에 시설하는 인입개폐기에 이르는 배선
③ 연접 인입선 : 한 수용장소의 인입선에서 분기하여 지지물을 거치지 아니하고 다른수용 장소의 인입구에 이르는 부분의 전선
9. 비상전원 수전설비
10. 자동화재탐지설비 배선의 설치기준
11. 합성수지관공사
1) 설명
① 금속관공사에 비해 중량이 가벼워 시공이 용이하다
② 절연성이 있고 절단이 용이하다
③ 열에 약하며, 기계적 충격 및 중량물에 의한 압력 등 외력에 약하다
④ 내식성이 있어 부식성 가스가 체류하는 화학공장 등에 적합하며, 금속관과 비교하여 가격이 싸다
2) 장단점
'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난기구의 개요,정리,설치개수, 설치기준, 설치제외, 설치의 감소 등에 대한 설명 (0) | 2025.02.15 |
---|---|
무선통신보조설비의 설치기준과 결합손실 및 설치제외, 옥내배선기호에 대한 설명 (0) | 2025.02.13 |
비상콘센트설비의 구성, 설치대상, 설치거리, 배치, 비상전원, 절연내력시험, 보호함, 배선, 전선단면적 계산에 대해서 (1) | 2025.02.09 |
비상조명등의 종류, 설치기준, 설치제외 장소와 휴대용 비상조명등에 대해서 (5) | 2025.02.07 |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종류, 설치장소와 설치기준, 적합기준 그리고 설치개수 산정방법 등에 대해서 (2)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