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방

누전경보기의 구성, 시험, 수신부, 미작동원인, 회로, 설치방법, 기술기준에 대해서

by Universe and Astronaut 2025. 1. 26.
반응형


1. 누전경보기

내화구조가 아닌 건축물로서 벽, 바닥 또는 천장의 전부나 일부를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 재료가 아닌 재료에 철망을 넣어 만든 건물의 전기설비로부터 누설전류를 탐지하여 경보를 발하는 것

 

1) 구성요소


① 영상변류기 : 누설전류를 검출한다
② 수신기(차단기구 포함) : 누설전류를 증폭한다
③ 음향장치 : 경보를 발한다


▶ 누전경보기의 증폭기 : 수신기에 내장
▶ 누전경보기의 개괄적인 구성 : 변류기, 수신부

◆ 변류기와 영상변류기

 

2) 수신기 증폭부의 방식

① 매칭트랜스나 트랜지스터를 조합하여 계전기를 동작시키는 방식
② 트랜지스터나 I.C로 증폭하여 계전기를 동작시키는 방식
③ 트랜지스터 또는 I.C와 미터릴레이를 증폭하여 계전기를 동작시키는 방식

▶ 수신부 : 변류기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누전의 발생을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에게 경보하여 주는 것
▶ 트랜지스터 : PNP 또는 NPN 접합으로 이루어진 3단자 반도체 소자로서, 주로 증폭용으로 사용


2. 누전경보기의 시험

① 동작시험 : 스위치를 시험위치에 두고 회로시험스위치로 각 구역을 선택하여 누전시와 같은 작동이 행하여지는지를 확인하다
② 도통시험 : 스위치를 시험위치에 두고 회로시험스위치로 각 구역을 선택하여 변류기와의 접속이상 유무를 점검한다. 이상시에 도통감시등이 점등된다
③ 누설전류 측정시험 : 평상시 누설되어지고 있는 누전량을 점검할 때 사용한다. 이 스위치를 누르고 회로시험 스위치 해당구역을 선택하면 누전되고 있는 전류량이 누설전류 표시부에 숫자로 나타난다

▶ 검출시험 : 누설전류를 변류기에 흘려서 실시

▶ 누전경보기(Earth Leakage Detector)
누설전류를 검출하여 소방대상물의 관계인에게 경보를 발하는 장치, 600V 이하의 누설전류 검출

▶ 누전차단기(Earth Leakage Breaker)
누설전류를 검출하여 회로를 차단기시키는 기기


3. 누전경보기의 수신부

1) 수신부의 설치장소 : 옥내의 점검에 편리한 장소(옥내 건조한 장소)

2) 수신부의 설치 제외장소

① 습도가 높은 장소
② 온도의 변화가 급격한 장소
③ 화약류제조, 저장, 취급장소
④ 대전류회로, 고주파 발생회로 등의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
⑤ 가연성의 증기, 먼지, 가스, 부식성의 증기와 가스가 다량 체류하는 장소

▶ 누전경보기(방수유무에 따른) 분류 : 옥내형, 옥외형


4. 누전경보기의 미작동 원인

① 접속단자의 접속불량
② 푸시버튼스위치의 접촉불량
③ 회로의 단선
④ 수신기 자체의 고장
⑤ 수신기 전원 Fuse 단선


5. 3상 3선식 전기회로


1) 누설전류가 없을 때


2) 누설전류가 있을 때


▷ 누설전류 = 누전전류, 영상전류
▷ 바리스터 : 과대교류 입력전압 억제
▷ 변류기 : 경계전로의 누설전류를 자동적으로 검출하여 이를 누전경보기의 수신부에 송신하는 것

 

 

6. 누전경보기의 설치방법

 


① 변류기는 옥외인입선의 제1지점의 부하측 또는 제2종의 접지선측의 점검이 쉬운 위치에 설치할 것 (전선 모두를 변류기에 관통시킬 것)
② 옥외전로에 설치하는 변류기는 옥외형으로 설치할 것
③ 각 극에 개폐기 및 15A 이하의 과전류차단기를 설치할 것( 배선용 차단기는 20A 이하)
④ 분전반으로부터 전용회로로 할 것

※ 1급 누전경보기로 보는경우
정격전류가 60A를 초과하는 경계전로가 분기되어 각 분기회로의 정격전류가 60A 이하로 되는 경우 해당 분기회로마다 2급 누전경보기를 설치한 때


◆ 유기전압식



7. 누전경보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기술기준


1) 용어

① 누전경보기 : 변류기 + 수신부(600V 이하)
② 집합형 누전경보기의 수신부 : 전원장치 + 음향장치 (2개 이상의 변류기 사용)
(집합형 누전경보기의 수신부 = 2개 이상의 변류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수신부)

▶ 대상에 따른 전압


▶ 누전경보기 수신부에 설치하는 변압기
① 정격 1차 전압은 300V 이하로 한다
② 외함에는 접지단자를 설치하여야 한다
③ 용량은 최대사용전류에 연속하여 견딜 수 있는 크기 이상이어야 한다


2) 부품의 구조 및 기능

① 음향장치 (1m 위치에서)
→ 사용전압의 80%에서 경보할 것
→ 주음향 장치용 : 70dB 이상
→ 고장표시 장치용 : 60dB 이상

② 반도체
→ 최대사용전압 및 최대사용전류에 견딜 수 있을 것

③ 단자 외의 부분 : 견고한 상자에 넣을 것

 

3) 변류기와 수신부

① 변류기
→ 구조에 따른 분류(옥내형,옥외형)
→ 수신부와의 상호호환성 유무에 따른 분류(호환성형, 비호환성형)

② 수신부
→ 정격전류에 따른 분류(1급,2급)
→ 변류기와의 호환성 유무에 따른 분류(호환성형, 비호환성형0


4) 공칭작동전류치와 감도조정장치

① 공칭작동전류치 : 200mA 이하
② 감도조정장치 : 1A(1000mA) 이하
▶ 공칭작동전류치 : 누전경보기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누설전류의 값으로서 제조자에 의하여 표시된 값


5) 누전경보기의 절연저항시험


▶ 절연내력시험
① 250V 이하 : 1500V
② 250V 초과 : 2V+1000V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