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방

방화론 - 방화안전관리(화점의 관리, 연소방지의 설비, 초기소화설비, 본격소화설비, 소방안전관리자의 업무, 소방훈련, 인명구조활동, 방재센터, 안전관리, 피난기구, 소방용배관)

by Universe and Astronaut 2025. 7. 7.
반응형

1. 화점의 관리

ⓐ 화기 사용장소의 한정
ⓑ 화기 사용책임자의 선정
ⓒ 화기 사용시간의 제한
ⓓ 가연물, 위험물의 보관
ⓔ 모닥불, 흡연 등의 정리

▷ 화점 : 화재의 원인이 되는 불이 최초로 존재하고 발생한 곳


2. 연소방지(방배연)의 설비

ⓐ 방화문, 방화셔터
ⓑ 방화댐퍼
ⓒ 방연수직벽
ⓓ 제연설비
ⓔ 기타 급기구 등

▷ 방화문, 방화셔터 : 화재시 열, 연기를 차단하여 화재의 연소확대를 방지하기 위한 설비
▷ 방화댐퍼 : 화재시 연소를 방지하기 위한 설비
▷ 방연수직벽 : 화재시 연기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설비
▷ 제연설비 : 화재시 실내의 연기를 배출하고 신선한 공기를 불어 넣어 피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설비


3. 초기소화설비와 본격소화설비

 

4.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과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자의 업무


5. 소방훈련

 

6. 인명구조 활동

인명구조 활동시 주의하여야 하라 사항은 다음과 같다
ⓐ 요(要) 구조자(=구조대상자) 위치확인
ⓑ 필요한 장비장착
ⓒ 세심한 주의로 명확한 판단
ⓓ 용기와 정확한 판단

▷ 3E : 교육,홍보 / 법규의 시행 / 기술
▷ 피난교의 폭 : 60cm 이상
거실 : 거주, 집무, 작업, 집회, 오락, 기타 이와 유사한 목적을 위하여 사용하는 것
▷ 피난을 위한 시설물 : 객석유도등 / 방연커텐 / 특별피난계단 전실
▷ 소방의 주된 목적 : 재해방지
▷ 방재센터 : 화재를 사전에 예방하고 초기에 진압하기 위해 모든 소방시설을 제어하고 비상방송 등을 통해 인명을 대피시키는 총체적 지휘본부


7. 방재센터

방재센터피난인원의 유도를 위하여 피난층으로부터 가능한 한 같은 위치에 설치한다
ⓑ 방재센터 연소위험이 없도록 충분한 면적을 갖도록 한다
ⓒ 소화설비 등의 기동에 대하여 감시제어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 방재센터내의 설비, 기기
* C,R,T 표시장치(화재발생 감시 모니터)
* 소화펌프의 원격기동장치
* 비상전원장치


8. 안전관리

ⓐ 무사고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활동
ⓑ 인명 및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활동
ⓒ 손실의 최소화를 위한 활동

▷안전관리 관련색



▷ 비상조명장치 : 조도 1lx 이상
▷ 화재부위 온도측정 : 열전대, 열반도체


9. 피난기구

ⓐ 피난사다리
ⓑ 구조대(경사강하식 구조대, 수직강하식 구조대)
ⓒ 완강기
 소방청장이 정하여 고시하는 화재안전기준으로 정하는 것(미끄럼대, 피난교, 공기안전매트, 피난용트랩, 다수인 피난장비, 승강식 피난기, 간이완강기, 하향식 피난구용 내림식 사다리)

▷ 가연성가스 누출시 배기팬 작동금지


10. 소방용 배관

ⓐ 배관용 탄소강관
ⓑ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 이음매 없는 동 및 동합금판
ⓓ 배관용 스테인리스강관 또는 일반배관용 스테인리스강관
ⓔ 덕타일 주철관

반응형